감정조절
부자_43935033
62 0 0
- 감정조절이란 부정적 감정을 억압하는것이 아니라, 반대로 모든 감정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받아들이는것을 말한다
- 우리가 인간으로서 느낄 수 있는 모든 감정을 느끼지만 그에 압도되거나 휩쓸리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화가 나지만 그 화를 주체하지못해 이성을 잃는대신 화가 난 상태를 견딜 수 있는것 슬프지만 견딜 수 없을만큼 슬퍼서 우울증으로 가는대신 슬픈상태에 머물 수 있는것 기쁜것에 대해서도 그에 압도되어 주체할 수 없는 기쁨을 느끼는것이 아니라 기쁨을 즐길 수 있는 상태로 있는것이다
- 감정이 자극되면 이전에는 아무렇지 않았던 중립적 자극과 기억들이 전혀 다른의미로 재배열된다. 새떼가 어떤 형태로 무리지어 날아가다가 우두머리가 날아가는 형태를 바꾸면 전체가 순식간에 다른 모습으로 재배열하는 모습을 볼 수 있을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우리의 기억과 정보들도 감정이라는 신호를 받아 전혀 다른 모습과 목적으로 재배열하는것이다. 그러니 감정 조절이 되지않을때에는 아무생각없이 지나쳤던 중립적 자극과 경험들이 감정이라는 색안경을 통해 나쁘게 혹은 좋게 보이고, 전혀 연관성이 없는 자극과 기억들이 감정에 의해 인과관계가 있는것처럼 순서가 착착 맞아떨어지거나 계획적으로 일어나는것처럼 느껴지는것이다
- 기가 막히게 딱딱 맞아 떨어지며, 그들의 집중력이나 사건의 인과관계를 찾아내는 논리력과 집요함은 보통사람의 논리와 설명으로는 당해 낼 수 없다. 이 사람들은 이미 답을 정해놓고 모든 상황을 몰아가기 때문이다.
- 불교에서 말하는 무소유 혹은 집착하지 않는것이란 다양한 감정의 기복을 느끼고 자각하되 이를 더 가지거나 피하기 위해 어떤 행동을 하는 대신 그것을 바라보면서 그것들이 왔다가 또 사라지는것을 경험하는 마음 챙김 연습을 통해 얻어내는 성취이지만 감정저하상태의 무심함은 다양한 감정의 기복을 느끼는 것 자체가 두려워 그로부터 도망가려하는 두려움에 바탕을 둔것이다
- 이렇게 감정조절이 된 상태에서는 방어적이지 않고 과거의 경험에 의한 색안경으로 현재를 바라보는것이 아니라 지금 이 상황자체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과거의 경험과 상처들 때문에 그 상처를 상기시키는 상황이 생기면 현재에 집중하기보다는 과거의 경험에서 일어난 감정이라는 색안경을 끼고 현재를 바라보게 된다
- 불행한 완벽주의자 - 한국드라마에 단골로 등장하는 인물 중 하나는 잘생기고 능력있고 재산도많고 학식도 높고 무엇하나 부러울것없는 까칠한 재벌2세다 너무나 완벽해서 자기 스스로도 자신을 이상적으로 생각하고 자기보다 못한 다른사람들을 무시한다. 하지만 드라마에서 언뜻 비치듯이 완벽해보이는 이들의 모습은 자신이 스스로만들어낸 사랑의 대체물이다. 나르키소스는 여신 네메시스의 미움을 받아 우물에 비친 자신의 모습과 사랑에 빠지고 그 사랑을 만나기 위해 우물속으로 몸을 던진다. 이런식의 자기애는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수용하는 마음으로 사랑하는것과 다르다. 자신의 마음으로 받아들이고 사랑하는 것은 자신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사랑하는것이지만 이런사람은 자신에 대한 사랑은 자기가 완벽함을 유지할때만 유효하기때문에 자신의 완벽함에 조금이라도 흠집이나면 스스로를 못살게 굴며 힘들어한다. 이들의 완벽함은 객관적인것이 아니라 철저히 주관적인것으로 남들이 봐서는 이미 완벽한데 그들에게는 늘 뭔가 부족한 부분이 느껴지는것이다. 하나의 목표를 달성하면 만족하고 안주하기보다는 다른 목표를 찾아서 또 달려간다. 이런 사람들은 일중독에 빠지기 쉽다 늘 앞을 향해 달려가기때문에 자신에게 쉴 수 있는 시간과 마음의 여유를 허락하지 않는다. 그러니 자신의 시간과 감정을 소모해야하는 인간관계며 로맨스에 관심이 가질 턱이 없다. 이런사람들은 한편으로는 자신이 완벽하다고 생각하면서 자신의 모습에 만족하지만 한편으로는 자기 마음속 깊은곳에 깔려있는 열등감과 수치심을 알고 있다 이 불편한 감정에서 도망가기 위해 자신보다 못한 소위 완벽하지못한 사람들에게 자신의 열등감과 수치심을 투사하고 그사람들을 무시하고 경멸하면서 마치 자신에게는 그런마음이 없는듯 살고 있는것이다. 그들은 남들로부터 아무것도 원하지않고 혼자만의 세계에서 자신의 완벽함에 감탄하면서 외롭게 지내지만 자신이 외로운지 자각도 하지못한다. 드라마를 보면 겉으로 완벽한 이들은 부모가 너무바빠 보모의 손에 자랏꺼나 부모에게서 진정한 사랑을 받은적이 없어 사랑을 할 줄모르는사람으로 묘사된다 이런사람이 너무나 부족하고 학식과 재산, 인물도 없으나 마음이 따뜻한 인간적인여자(안정적애착을 형성한 여자) 를 만나서 자기애의 거품이 터지고 겉으로 완벽해보이는 차가운 세상을 버리고 부족하지만 따뜻한 인간적인 세상으로가는것이 드라마의 뻔한 결론이다 이를 애착이론으로 설명하면 회피형 애착유형의 사람이 안정형 애착대상을 만나서 안정적인 애착을 획득해가는 과정을 그린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런사람들과 같이 있으면 괜히 주눅이 든다. 내가 뭔가 잘못하고있는것같고 부족한것같고 자신이 한없이 작아진다 따라서 이런사람과 같이 있으면 부족한 내가 초라해지고 싫어진다 이런 완벽한사람들에게 가까이 다가가기가 힘들다 그들은 모든것을 가지고 있는것처럼 보이기때문에 내가 그들에게 중요한 뭔가를 할 수 있고 줄수있다는것을 꿈조차 꾸지 못하는것이다 완벽주의자들은 이런식의 불편한마음을 주위사람들에게 불러일으키기때문에 가까이 접근하는사람이 잘 없고 이는 남들과 거리를두어 영향을받지않으려하는 완벽주의자의 기대를 강화시킨다. 이들은 사람을 가까이에서 경험하지않기때문에 전체적인 맥락에서 사람의 행동을 이해하지않고 한부분에만 집중하며 결과적으로 남들을 더 쉽게 비판하고 경멸한다
- 신경생물학적 관점에서보면 회피형성격이 형성된 사람은 언어와 논리적 사고, 직렬 정보처리를 담당하는 좌뇌가 지나치게 발달한 반면, 우뇌는 상대적으로 발달하지 못했기때문에 자신과 상대방의 감정적 비언어적 신체적 신호를 잘 읽지 못한다 회피형의 공통적인 특징은 말해주지 않으면 모른다 배우자가 이런 사람일 경우 사람들은 자신의 마음을 몰라주는 배우자를 야속하게 여기면서 정말 몰라서 그런건지 알면서 모르는척하는건지 궁금해한다 마음을 몰라준다고 화내고 투정부리면 말을 하지않으면 어떻게 내가 아느냐?, 내가 당신의 마음을 읽기를 바라는가하고 상대방을 비난한다 이런사람들은 정말 상대가 원하는것을 알면서도 모르는척을 하는걸까 아니면 몰라서 못하는걸까? 정답은 두가지 전부 다다 회피형은 문제가 요구되는 감정적요구에 대해서 회피하도록 자연적으로 입력되어있다 일단 이렇게 청사진이 형성되면 이제는 시스템이 자동적으로 반응해 의식하기도전에 반사적으로 회피하게 되므로 한편으로 의식적인것은 아니다 하지만 귀찮기때문에 알면서도 모르는척하는부분도 없지않다 이런회피형이 변하기 위해서는 무의식적 반사적 회피성향을 의식적으로 자각하고 억지로 방향을 틀어 관심을 기울이는 노력을 해야한다
- 집착형은 반대로 좌뇌보다 우뇌가 더 발달했기때문에 말을 믿지않고 비언어적, 감정적 신호에 더욱 민감하다 이런 사람들은 내가 말해서 상대방이 들어주는 것은 엎드려서 절 받기라며 매우 싫어하고, 자신이 원하는것을 말해줘서 상대가 그걸 해주면 발로 걷어차버린다 이런사람들은 말하지 않아도 상대가 자기마음을 알고 자신이 원하는대로 해주기를 바란다. 상대에게 자신의 마음을 읽는것을 강요한다
- 사람들은 상대에게 가까이 다가가기를 너무나 간절히 원하지만 동시에 그러면 상대가 자신이 얼마나 추어ㅏㄱ하고 원하는게 많은지 파악하고 도망갈까봐 극심한 불안에 떤다
- 집착형 사람들은 너무 빨리, 또 극적인 반응을 보인다. 이들의 뇌는 인간관계에 부정적인 요소에 초점을 맞추도록 프로그램화 되어있기 때문에 긍정적인것보다는 부정적인 자극에 빈감하게 반응한다
- 영희는 자신이 집착형이고 자신이 버림받을까봐 두려워 항상 긍정적반응보다 부정적반응을 더 크게 받아들인다 이 때문에 철수가 잘 해준것을 크게 받아들여 화를 내고, 기념일도 미리 알려주어 철수가 준비하게 하기보다는 철수가 자신을 사랑하는지 아닌지 시험에 들게 했다는 것이다
- 어떻게보면 철수가 자신을 살아하지 않을거고 자신의 요구를 들어주지 않을거라는 유기불안이 있기때문에 철수가 뭘 하기도전에 화를 낼 준비를 하고 있었다는것을 이해하게된다
- 감정 조절을 하는데 가장 필수적인 조건은 "안전"이다 이 안전이란 실질적인 신체,감정 위험이 없는 안전한상태뿐 아니라 외부상황과 상관없이 안전감을 만들어낼 수 있는 상태를 뜻한다
- 우리 뇌는 부정적인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생존을 위협하는것으로 인식하므로 자연스럽게 부정적인것으로 관심이 더 가게 되어있다 부정적인것에 관심을 기울이는 나를 발견하면 의식적으로 보다 긍정적인것에 초점을 맞추는 노력을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