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지방광역시 부동산 투자

부자_73213584
6 0 0
아래는 “만약 제가 인구가 줄어드는 도시(특히 청년 유출이 큰 지역)의 핵심 입지에서 주택을 매수하려고 할 때, 개인적으로 어떤 판단을 내릴지”에 관한 제 주관적 견해입니다. 당연히 사람마다 투자 성향, 자금 사정, 보유 기간 등이 다르므로, 아래 내용은 어디까지나 저라면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의견임을 감안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1. “핵심지역”이라도 매입에 신중할 것


1. 인구·청년 감소 = 구조적 수요 축소


아무리 핵심지라도, 도시 전체 인구가 줄어드는 추세라면 장기적으로는 주택 수요가 확실히 줄어드는 방향입니다.


이는 시간이 지날수록 매도(Exit)가 어려워지고, 가격 상승 여력이 제한적일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2. 미래 가치 대비 리스크


“핵심지”라 해도 과거의 시세, 호재 기사만 믿고 진입했다가, 5년~10년 뒤에 매도하려 할 때 수요 자체가 없어서 원하는 가격에 팔기 힘들 수 있다고 봅니다.


주변 시세와 임대시장(전세·월세) 동향, 공실률 등을 아주 면밀히 보지 않으면, 장기 보유했을 때 손실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3. 예외적 호재 여부


물론 그 도시가 확실한 산업 유치, 대규모 교통 개선, 재개발·재건축 진행 등으로 “실제 인구 유입”이 일어날 만한 강력한 호재가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시(市) 예산이 풍족하지 않고, 추진 중인 개발 사업이 ‘계획’ 단계에만 머문다면, 실제로 인구가 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리거나 무산될 수도 있습니다.





> 제 결론: 핵심지역이라도, 인구·청년 유출이 뚜렷한 도시에서는 “상당히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


2. 실거주 목적이라면


1. 해당 지역에서 장기 거주 계획


직장이 그곳이고, 최소 5~10년 이상은 살 마음이 있다면, 전세를 사느니 내 집을 사서 월세(또는 전세) 부담을 줄이는 선택을 할 수도 있습니다.


이때도 저는 핵심지역 중에서 직장·편의시설과 가깝고, 교통·학교·병원 등 생활 인프라가 잘 갖춰진 곳만 살펴볼 것 같습니다.




2. 매매가 vs. 임대료 비교


인구가 감소하는 도시일수록 전세·월세가 상대적으로 싸질 가능성이 큽니다.


매매로 3억2억 초반이라면, 전세를 살면서 남은 자금을 투자하거나 저축하는 전략이 더 나을 수 있다고 봅니다.


특히 금리가 높다면, 대출 이자가 전세·월세보다 비싸질 수 있으므로, **실거주 목적일지라도 ‘굳이 사야 하나?’**라는 의문이 듭니다.





> 제 결론: “매달 부담하는 임대료보다 내 집 마련이 더 이득”이라는 확신이 서지 않는다면, 섣불리 매수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


3. 투자 목적이라면


1. 장기 자산 성장 기대치는 낮음


대도시(수도권)와 달리, 지방 중소도시(인구감소 지역) 부동산은 장기적 자산 가치 상승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봅니다.


특히 청년 인구는 임대 시장의 핵심 수요원인데, 이들이 빠져나가면 월세·전세 수요까지 줄어들어, 임대료가 제자리거나 하락할 수 있고, 공실 리스크가 높아집니다.




2. 매도 리스크(유동성)


“언젠가 팔아서 차익을 남기겠다”라는 전략은, 수요 기반이 붕괴된 지역에서는 매우 위험합니다.


실제로 지방 도시 아파트 중에는, 급할 때 팔려고 내놔도 6개월~1년 넘게 안 팔리는 사례가 많습니다. 가격을 낮춰도 아예 거래가 없는 상황도 생길 수 있습니다.




3. 임대 수익률 점검


“그래도 시세가 싸니 월세 수익을 기대하겠다”라고 접근해도, 공실이 생기면 한 번에 수익률이 크게 떨어집니다.


월세 40만 원이라 해도, 몇 달 공실이 나면 연평균 수익률이 급락합니다.


유지보수 비용, 재산세, 기타 비용(부동산 중개수수료 등)까지 고려하면, 최종 실수익은 생각보다 훨씬 낮아질 공산이 큽니다.





> 제 결론: 투자를 목적으로라면, 저는 “청년 감소 도시의 핵심지 매수”를 적극적으로 권하지 않습니다. 단기 시세차익이나 안정적 임대수익 모두 리스크가 크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


4. 제가 생각하는 “예외” 경우


1. 정말 압도적인 호재가 있는 경우


예: 대규모 기업 유치 확정, 도시재생 뉴딜 사업으로 거대한 상권이 만들어지고, 교통 인프라가 획기적으로 개선될 계획이며, 이미 국가(정부) 예산도 확정됨.


이처럼 “이미 사업이 실행 중”이고, 가시적인 인구 유입이 시작된 곳이라면, 투자 대상으로도 재검토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 극도로 저평가된 매물을 ‘현저히 싼 가격’에 살 때


시장에서 2억 원 시세인 집을 1억 원에 살 수 있다거나, 그만큼의 가격 메리트가 있어야만 매수해 볼 의향이 있습니다.


그럴 만한 특수한 상황(급매, 경매 등)이라면, 장기적으로 임대수익을 거둔 뒤, 나중에 다시 팔아도 최소한 원금만은 지킬 수 있겠다는 계산이 선다면 고려해볼 만합니다.




3. 내가 그곳에서 실제로 사업(가게·사무실)을 운영하거나, 거주 목적이 분명히 있는 경우


집과 사업체(사무실·가게 등)를 같은 건물에 두어 운영비를 줄이기 위한 목적인 경우 등, 금전 이득보단 생활/사업 편의에 더 가치가 있는 경우라면 매수를 고려할 수도 있습니다.






---


5. 결론적으로, 저라면…


1. 굳이 매수하지 않을 것


개인적으로 인구가 줄고 청년층이 떠나가는 도시라면, “핵심지역”이라도 매수에 매우 신중할 겁니다.


투자보다는 실거주 목적이라면 그나마 가능성을 보겠지만, 그래도 임대차 조건을 면밀히 비교해본 뒤 결정할 듯합니다.




2. 사더라도 아주 제한된 ‘예외’ 케이스만** 노릴 것**


1. 대규모 확정 호재, 2) 현저히 낮은 매입가(급매), 3) 나의 실거주·사업 병행 등 “기회비용이 확실”한 경우가 아니라면 뛰어들지 않을 겁니다.






3. 상승 기대보단 ‘방어력’ 위주로 판단


인구 감소 도시에서 핵심입지 부동산을 샀다고 해도, “가격이 크게 오를 것”을 기대하기보다는 상대적으로 덜 떨어지는 정도로 방어하겠다는 관점으로 접근할 것입니다.


그마저도 위험 부담이 크다고 생각하므로, 개인적으론 다른 지역(인구가 늘어나거나 산업·일자리가 활발한 곳)으로 눈을 돌릴 확률이 높습니다.






---


최종 한줄 정리(제 개인적 견해)


“인구·청년 인구가 뚜렷하게 감소하는 도시에서는, 핵심지역 매수라도 적극 권유하기 어려우며, 저라면 아주 특별한 호재나 절대적 저평가 매물이 아닌 이상, 매수 대신 신중하게 관망하거나 임대차로 거주를 택하겠습니다.”



신고공유스크랩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