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25년 신생아 특례대출

부자_73213584
7 0 0

아래 내용은 “신생아 특례대출(디딤돌 구입자금)”을 적용받아 주택을 매수한다는 가정하에, 금리 특례기간(5년) 동안의 이자 부담과 이후(6년 차 이후) 금리 인상으로 인해 월 상환액이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를 예시 시나리오로 보여드리는 것입니다. 실제 대출 한도, 소득 구간, 금리 조건, 상환방식(원리금 균등/체증식/원금만기일시 등)은 개인별·상품별로 달라질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보시기 바랍니다.


1. 가정 시나리오 설정

  1. 대출 종류: 신생아 특례 디딤돌(구입) 대출
  2. 대출 금액: 3억 원 (예시)
  3. 대출 기간: 30년 (원리금 균등 상환)
  4. 부부합산 연소득: 약 7,000만 원(=월 583만 원) 정도
    • 이는 표 상에서 “6천만 원 초과 ~ 8,500만 원 이하” 구간에 해당 → 특례대출 초기 금리가 약 2.45~2.70% 정도가 됨 (대출기간 30년 기준으로는 2.70% 전후)
  5. 특례금리 적용 기간: 5년
    • 이후(6년 차)부터는 부부합산 소득이 8,500만 원 이하인 경우, 기존 디딤돌대출 기준금리에 +0.55%p 가산 되거나, 8,500만 원 초과 시 시중은행 최저금리로 전환된다는 정책(보도 내용 기준)을 가정.

위 시나리오는 “처음 5년간은 연 2.70% 금리 적용”, 이후(6년 차부터)는 “약 연 3.25%(=2.70% + 0.55%p)”로 오른다고 단순 가정했습니다.

주의: 실제론 5년 후 소득 구간 변동이나, 당시의 은행 금리 수준, 추가 출산 여부(특례연장) 등에 따라 다릅니다.


2. 5년간(특례금리 적용) 월 상환액 계산 예시

  • 대출원금: 3억 원
  • 연이자율: 2.70%
  • 월이자율: 약 0.225% (연 2.70% ÷ 12)
  • 상환기간: 30년(=360개월), 원리금 균등상환

원리금 균등상환 공식에 따라 대략 계산하면,

월 상환액 M=P×i1−(1+i)−n\text{월 상환액 } M = P \times \frac{i}{1 - (1 + i)^{-n}}월 상환액 M=P×1−(1+i)−ni​

여기서

  • PPP: 대출원금(3억 원)
  • iii: 월이자율(0.00225)
  • nnn: 상환 개월 수(360)

이를 단순 계산하면,

  • 월 상환액이 약 1,220,000원 전후(약 122만 원) 정도로 추정됩니다.
    • (실제 은행별 세부계산 시 ± 수만 원 차이 날 수 있음)

즉, 처음 5년간(60개월)은 월 122만 원 정도를 원리금으로 납입하게 됩니다.

  • 이 중 초기에는 이자 비중이 크고, 원금 비중이 점차 늘어납니다.
  • 5년이 지난 시점에는 어느 정도 원금이 상환되어, 남은 대출원금은 대략 2억 7천만~2억 8천만 원 수준(정확 금액은 상환내역표 참조)이 됩니다.

3. 6년 차 이후(특례 종료 후) 가정 시

5년 특례가 끝나면, 보도된 내용상 소득 구간에 따라 두 갈래로 나뉜다고 합니다.

  1. (부부합산 8,500만 원 이하 가정): 기존 금리 + 0.55%p 가산
    • 예) 이전 금리가 2.70%였다면 → 3.25%로 적용 (혹은 3.30% 전후, 정확 연동 수치는 실제 상품별로 확인 필요)
  2. (8,500만 원 초과 가정): 시중은행 최저금리 수준으로 전환(당시 시장금리에 연동)

여기서는 “8,500만 원 이하 구간 + 0.55%p = 3.25%”로 가정합니다.

3.1 남은 원금 재설정 후 월 상환액 변화

  • 가정: 5년(60개월)간 원리금 균등을 납입했으므로, 대략 원금 중 약 2,200~2,300만 원 정도를 갚았다 가정(이자와 함께 총 납부는 약 7,300만원 전후).
  • 남은 원금: 약 2억 7,700만 ~ 2억 7,800만 원 정도 (정확치는 은행 대출상환표 참고)
  • 이후 3.25%로 변동 적용, 나머지 25년(300개월) 재상환

다시 원리금 균등방식으로 계산하면,

  • 월 상환액이 약 1,310,000원 전후(131만 원 정도)로 추정됩니다.
    • 이전 5년간 1,220,000원 → 이제 6년 차부터 약 131만 원으로 월 9~10만 원 가량 증가하는 셈입니다.

참고: 만약 금리가 더 높아진다면(예: 3.3%~3.5%), 월 상환액 상승 폭이 더 커질 수 있습니다.


4. 추가 출산 여부에 따른 특례연장

보도 내용에 따르면,

  • “대출접수일 기준 2년 내 추가 출산 시, 자녀 1명당 특례금리 적용기간(5년)이 5년씩 추가 연장, 최대 15년까지 가능”
  • 즉, 특례 기간을 최장 15년(=5년+5년+5년)까지 늘릴 수 있음.
  • 이 경우, 가령 대출 후 2년 안에 둘째 출산 → 5년 특례 종료 시점이 다시 +5년 연장되어, 연 2.70% 전후의 특례금리가 10년간 적용 가능. → 월 상환액 상승 시점을 더 늦출 수 있습니다.

5. 대출 한도·소득 구간 변화 시 고려사항

  1. 소득 증가/변화

    • 대출 이후 부부합산 소득이 증가해 “8,500만 원 초과”가 된다면, 5년 뒤 시중은행 대출금리 수준으로 재산정되어 더 높은 금리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 반대로 소득 감소, 퇴직, 육아휴직 등으로 DSR이 달라질 수 있으니, 중도상환 또는 부분 상환을 고려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2. 주택가격 하락/상승, 부동산 규제 변동

    • 시세 9억 이하 주택에만 적용(디딤돌)이라는 한계, 혹은 지역별 LTV 규제 변경 가능성 등.
    • 대출 실행 시점에 맞춰 국토부·주택도시기금 지침을 꼭 확인해야 합니다.
  3. 중도상환 수수료

    • 디딤돌은 중도상환수수료가 없거나(상품에 따라 없음) 매우 낮은 편이지만, 대환·갈아타기 시 세부 약관 확인 필요.

6. 결론 요약

  1. 처음 5년(특례기간):

    • 예) 3억 원 대출, 연 2.7% 가정 시, 월 원리금 약 122만 원 부담.
    • 금리가 일반 디딤돌(2.7~3.3% 구간)보다 더 낮은 구간을 적용받을 수 있어 상대적으로 이자 부담이 줄어드는 효과 있음.
  2. 이후(6년 차~):

    • 특례 기간 종료 후, 부부합산 소득이 8,500만 원 이하라면 +0.55%p 적용 → 약 3.25%로 상승(가정)
    • 월 상환액이 기존 대비 9~10만 원 정도 늘어나는 형태.
    • 만약 소득이 더 높아지면, 시중금리(예: 3.5~4% 수준)로 전환되어 부담이 더 커질 수 있음.
  3. 추가 자녀 출산 시 특례 연장:

    • 자녀 1명당 5년씩 특례금리를 더 연장(최대 15년) 가능 → 금리 상승 시점 늦춤으로써 가계 부담 경감.
  4. 주의사항:

    • 금리 변동(5년 후 시장금리가 더 올라 있을 수도, 혹은 내려 있을 수도), 소득 구간 변화, 주택가격 변동 등 다양한 리스크가 존재하므로, 실제 대출 실행 전 자세한 대출 상환 스케줄표(원금·이자)와 추후 변동 시뮬레이션을 꼭 확인해야 합니다.
    • 특례대출에도 LTV(최대 70~80%), DTI(60%) 규제가 적용되므로, 원하는 금액 전부 대출이 나오지 않을 수 있음.

한 줄 결론

“신생아 특례대출을 적용하면 처음 5년간 시중보다 낮은 금리(연 1.6~3.3% 구간)를 적용받아 월 상환 부담이 줄어들지만, 특례기간이 끝나는 6년 차부터는 소득 구간에 따라 금리가 0.55%p 이상 뛸 수 있어 월 납입액이 다소 증가하며, 추가 출산 시 특례 연장으로 혜택을 늘릴 수 있습니다.”

신고공유스크랩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